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한말 사대부들의 편지


할머니 할아버지의 할머니 할아버지 시절의 이야기를 역사가의 눈이 아니라당시 사대부인 한 개인의 글을 통해서 볼 수 있다.구한말에 관직에 출사를 했던 조상이 있다면 이래 저래 구전을 통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들으면서 자랐을 것이다.하지만 구전으로 듣는 정보는 부정확하며 사료의 가치는 없다고 할 수 있다.이렇게 1차 사료가 될 수 있는 서간문을 직번역해서그 당시 시대의 인물의 생각과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것은 매우즐거운 일이다.본인들 조상의 여러 서간이나 수필등이 여러차례의 전란을 통해사라져서 읽을 수 없게 된 것이 아쉬울 따름이며이렇게 잘 보존해 준 일가에 고마움을 표한다.
고종이 폐위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취음 권중면!
계룡산에서 받은 아름다운 초서(草書) 편지 104점과 시 7수를 통해
격변기에 살았던 조선시대 마지막 사대부들의 삶을 돌아본다!

이 책은 권중면(權重冕: 1856~1936)이 받은 서간(書簡) 세 첩을 번역한 것이다. 세 첩의 이름은 양몽구독(粱夢舊牘) , 구독부여전(舊牘附餘全) , 구독습유건(舊牘拾遺乾) 이다. 모두 편지 104점과 시 7수가 실려 있다. 당시는 종이가 귀하던 시절이라, 신문지, 한지, 벽지, 장판지, 부대종이 등 갖가지 종이로 표구되어 있지만, 꼼꼼하고 정성스레 만들었다. 또 이 첩에는 권중면의 도장이 많이 찍혀 있는데, 그의 생활, 생각, 사상을 표현한 문구들을 담고 있다.


해제

양몽구독(粱夢舊牘)
1. 권용국(權用國)
2. 권용국(權用國)
3. 이건하(李乾夏)
4. 이건하(李乾夏)
5. 이건하(李乾夏)
6. 이용익(李容翊)
7. 윤철규(尹喆圭)
8. 황우영(黃祐永)
9. 조천식(趙天植)
10. 이용우(李容愚)
11. 이용우(李容愚)
12. 권오익(權五翊)
13. 이용우(李容愚)
14. 이재정(李在正)
15. 이재정(李在正)
16. 민건호(閔建鎬)
17. 김상섭(金商燮)
18. 안기현(安基鉉)
19. 조중관(趙重觀)
20. 이장용(李章鎔)
21. 김상섭(金商燮)
22. 민경호(閔慶鎬)
23. 산본금태(山本金太)
24. 이준규(李峻奎)
25. 권중찬(權重瓚)
26. 홍재하(洪在夏)①
27. 홍재하(洪在夏)②
28. 김성한(金聲漢)
29. 이병화(李秉和)
30. 김우현(金宇鉉)
31. 권필(權泌)
32. 이병화(李秉和)
33. 목원학(睦源學)
34. 이병화(李秉和)
35. 이병화(李秉和)①
36. 이병화(李秉和)②
37. 이병화(李秉和)
38. 이병화(李秉和)
39. 김성한(金聲漢)
40. 김성한(金聲漢)
41. 이준규(李峻奎)

구독부여(舊牘附餘) 전(全)
1. 윤용구(尹用求)
2. 보낸이 미상
3. 김가진(金嘉鎭)
4. 정현철(鄭顯哲)
5. 보낸이 미상
6. 이근영(李根英)
7. 신태휴(申泰休)
8. 조진규(趙晉奎)
9. 민경호(閔慶鎬)
10. 윤상조(尹相朝)
11. 보낸이 미상
12. 남정규(南廷奎)
13. 윤덕영(尹德榮)
14. ?학규(?鶴圭)
15. 이승린(李承麟)
16. 박제선(朴齊璿)
17. 권중석(權重奭)
18. 권재윤(權在允)
19. 정순각(鄭淳珏)
20. 정지현(鄭志鉉)①
21. 정지현(鄭志鉉)②
22. 김상수(金商洙)①
23. 김상수(金商洙)②
24. 손병휘(孫秉煇)
25. ?학규(?鶴圭)
26. 심상익(沈相翊)
27. 남정규(南廷奎)①
28. 남정규(南廷奎)②
29. 남정규(南廷奎)③
30. 김연국(金演局)
31. 이두용(李斗用)
32. 목원학(睦源學)
33. 박우용(朴遇用)
34. 이병화(李秉和)
35. 임연상(林淵相)
36. 이용한(李容漢)
37. 이헌설(李憲卨)
38. 김상수(金商洙)

구독습유(舊牘拾遺) 건(乾)
1. 보낸이 미상
2. 권병휘(權丙輝)
3. 김상호(金商皓)
4. 김영훈(金永薰)
5. 조진규(趙晉奎)①
6. 조진규(趙晉奎)②
7. 김영훈(金永薰)
8. 권태봉(權泰鳳)
9. 구희서(具羲書)
10. 김상수(金商洙)